가상머신 : 가상화를 통해서 구현되는 복제된 컴퓨팅 환경

가상머신 모니터: 가상 머신을 모니터링하는 기술 -> 하이퍼바이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정의
-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으로, 여러 개의 OS가 단일 하
드웨어 호스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OS 간 서로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VM(Virtual Machine)에 대한 자원 및 메모리 할당 및 처리기능을 담당하
는 가상화 머신 모니터 (virtual machine monitor, VMM).

 

 

 

 

 

 

 

 

 

 

 

 

 

type 1 : 하드웨어 위에서 바로 구동되며, 하이퍼바이저가 다수의 VM들을 관장하는 형태

type 2: 하드웨어 위에 호스트 운영체제(Host OS)가 있고, 그 위에서 하이퍼바이저가 다른 응용프로그램과 유사한 형태로 동작하는 방식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lady’s Anomaly  (0) 2021.04.28
페이징 기법 및 TLB  (0) 2021.04.28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2. FIFO 이상현상의 예시 (012301401234)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visor  (0) 2021.04.28
페이징 기법 및 TLB  (0) 2021.04.28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정의] 논리주소를 페이지 테이블을 이용하여 물리주소로 변경하여 메모리에 접근하는 방법

 

[논리주소] Process에서 사용하는 주소. Page number(p), page offset(d, 각 변수의 위치) 으로 구성
[물리주소] 실제 메인메모리를 frame 라고 하고 frame 위치에 저장된 주소


[변환방법] 그림참조

- 페이지 테이블에는 frame 번호가 저장.


[문제점] 페이지 테이블이 실제로 물리 메모리에 위치하고있어 두번 메모리 접근하여 성능 문제 발생
-> TBL를 이용하여 문제 해결 가능


[TLB] MMU 내부에 page table만 이용하는 공간 할당된 버퍼. Page table의 일부 내용만 저장.
[TLB 작동원리] 전체 검색후 윈하는 페이지를 찾고, 데이터의 위치를 찾음(P,D를 동시 저장).
- 전체 검색시에 검색시간 소요되므로, 전체를 비교가능한 캐시의 구조를 이용함.

 


[TLB를 이용한 주소변환] 그림참조

- TLB를 우선 찾고, TLB HIT 일때, 같이 저장된 frame을 가져와서 물리주소 구성
- TLB Miss 일때, Page table 찾아 물리주소 구성.
- TLB Miss 일때, 찾아온 물리주소를 새로 저장하기 위해 항목교체 알고리즘 필요
(LRU, FIFO, Random 등등)
- Process가 교체될때(문맥교환시) TLB 전체가 교체되어야함. 이럴때 Thrashing 발생가능하므로, 
여러 Process의 내용을 동시에 보관하는 방법을 사용(Address-space Identifier(ASID))
[크기가 큰 페이지 테이블의 처리]
- 계층적 페이징, 해시 페이지 테이블, 역 페이지 테이블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visor  (0) 2021.04.28
Belady’s Anomaly  (0) 2021.04.28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lady’s Anomaly  (0) 2021.04.28
페이징 기법 및 TLB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CPU 구성  (0) 2021.04.24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징 기법 및 TLB  (0) 2021.04.28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CPU 구성  (0) 2021.04.24
개요  (0) 2021.04.24

 

 

 

1. 명령어 사이클 메이저 상태 4가지

 

2. 명령어 사이클 설명

 

3. 인출 사이클 동작의 마이크로 연산

t1 : PC의 내용을 MAR에 이동

t2 : MAR에 의하여 지정된 기억장소의 내용을 MBR로 이동하고, PC의 내용을 I만큼 증가
t3 : MBR의 내용을 IR로 이동

 

 

 

 

 

3-1. ADD 명령어 실행 사이클에서의 마이크로 연산

 

 

 

4. 간접(inditect) 사이클 동작의 마이크로 연산

t1 : 명령어의 주소 필드는 MAR로 이동, 오퍼랜드의 주소 인출을 위해 사용됨
t2 : MAR에 의하여 지정된 기억장소의 내용을 MBR로 이동
t3 : IR의 주소 필드가 MBR로부터 들어오는 주소로 갱신, 따라서 그것은 간접주소가 아닌 직접 주소를 가지게 됨

 

 

 

 

5. 인터럽트(interrupt) 사이클 동작의 마이크로 연산

t1 : PC의 내용이 MBR로 보내져서 인터럽트 수행이 끝난 후 복귀(return)할 때 사용가능하도록 함
t2 : MAR에는 PC의 내용이 저장될 위치의 주소가 적재. PC에는 인터럽트-처리 루틴의 시작주소가 적재
t3 : PC의 이전 값을 가지고 있는 MBR의 내용을 기억장치에 저장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구성  (0) 2021.04.24
개요  (0) 2021.04.24
자동차 ecu의 이해 (펌글)  (0) 2017.12.21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개요  (0) 2021.04.24
자동차 ecu의 이해 (펌글)  (0) 2017.12.21

 

 

 

 

 

 

 

 

 

 

 

 

 

'ITPE > CA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che Clean, Flush  (0) 2021.04.28
MESI protocol  (0) 2021.04.28
CPU 명령어 사이클  (0) 2021.04.27
CPU 구성  (0) 2021.04.24
자동차 ecu의 이해 (펌글)  (0) 2017.12.21

 

 

 

I. 데이터의 직관적인 분포, 박스 플롯의 개념
- 자료들의 최대값과 최소값, 중앙값, 사분위수 등을 이용하여 자료의 측정값들이 어떤 모양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상치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도표

 

II. 박스플롯의 구성도 및 설명

. 박스플롯의 구성도 및 용어

용어 설명
사분위 자료를 작은 값으로부터 4등분
IQR 1사분위와 3사분위의 차이
Outlier MaxMin 범위를 벗어나는 값
최대값 1사분위에서 1.5 IQR을 뺀 것
최소값 3사분위에서 1.5 IQR을 더한 것
중간값 2사분위수로 중간값
평균값 전체 자료의 평균으로 (+)로 표기

 

 

 

. 박스플롯의 작성 절차

절차 설명
사분위 계산 데이터의 사분위수를 계산
박스 생성 1사분위수와 3사분위수를 이용하여 박스를 생성. 박스의 길이는 IQR
중간값 표기 2사분위수에 해당하는 위치에 선을 그림
최대값 및 최소값 표기 3사분위수에서 1.5IQR을 더한 위치와, 1사분위수에서 1.5IQR을 뺀 위치
이상값 표기 최대값 및 최소값의 범위를 넘어가는 자료는 기호로 표시

- 박스플롯 이용시 데이터의 분포를 쉽게 확인가능

 

 

 

 

 

 

혼동행렬

 

• TP(True Positives) : 실재값과 예측치 모두 True 인 빈도
• TN(True Negatives) : 실제값과 예측치 모두 False 인 빈도
• FP(False Positives) : 실제값은 False 이나 True로 예측한 빈도
• FN(False Negatives) : 실제값은 True 이나 False로 예측한 빈도

 

 

 


- 정분류율(accuracy, recognition rate) : 전체 관측치 중 실제값과 예측치가 일치한 정도를 나타낸다. 정분류율은 범주의 분포가 균형을 이룰 때 효과적인 평가지표이다.  (TP+TN)/(TP+TN+FP+FN)

 

- 민감도(sensitivity) = TP/(TP+FN) ==> 실제값이 True 인 관측치 중 예측치가 적중한 정도


- 특이도(specificity) = TN/(FP+TN) ==> 실제값이 False 인 관측치 중 예측치가 적중한 정도


- 정확도(precision) =  TP/(TP+FP) ==> True로 예측한 관측치 중 실제값이 True 인 정도. 정확성 지표


- 재현율(recall) = TP/(TP+FN) = 민감도 ==> 실제값이 Ture 인 관측치 중 예측치가 적중한 정도. 모형의 완전성을  (completeness)을 평가


- F1 Score = (2*precision*recall) / (precision+recall) ==> 정확도와 재현율의 조화평균. 정확도와 재현율에 같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

 

 

 

'ITPE > 인공지능_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xplot  (0) 2021.04.12
LSTM  (0) 2021.04.09

+ Recent posts